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주의력 결핍 및 과앵행동장애
ADHD(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는 아동기에 자주 나타나는 신경발달장애로 주의력 부족, 산만함, 충동성, 과잉행동이 주 특징으로 나타난다. ADHD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일상생활에 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동의 경우에는 주의력 문제로 학교 생활이 어렵거나 학업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대부분의 ADHD를 가진 사람들은 흥미가 없는 작업에 집중하기 위해 고군부투하는데, 본인이 관심이 있고 흥미를 느끼는 일에 있어서는 오랫동안 강한 집중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작용을 할 것이라 알려지고 있다. 유전 외에 뇌 손상 또는 임신 중 독소와 감염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질환은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약 2배, 여자보다 남자가 약 1.6배 더 자주 진단을 받는다. 유년기 진단을 받은 사람들의 약 30~50%정도가 성인기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성인기에 진단을 받은 사람들 중 약 2.58%유년기부터 ADHD 증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치료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고 상담과 다양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화될 경우 연령에 따라 부모교육을 실시하거나, 약물을 복용 또는 심리치료, 언어 치료, 인지 치료를 권장한다.
ADHD를 가진 각각의 사람들은 다른 강점, 약점, 그리고 신경적 다양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ADHD가 각 개인에게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징후와 영향을 인정하면서 판단 없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ADHD의 특징
ADHD는 주로 주의력의 어려움, 충동성, 그리고 과잉행동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이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어 상태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로 이어진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부 개인은 주로 주의력이 없는 증상을 보이며 집중력, 조직력 및 작업 지속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어떤 사람들은 지나치게 활동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며 침착하지 못하고 자기 조절/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증상들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일반적인 동반 질환에는 학습 장애, 불안 장애, 기분 장애, 대립적 반항 장애가 포함된다. 이러한 문제들로 ADHD의 진단, 치료 및 관리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는데, 각 개인마다 결핍된 부분들을 파악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가 중요하다.
징후 및 증상
ADHD 증상은 학업, 사회 및 직업 환경을 포함하여 다양한 삶의 영역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교육 환경에서 ADHD를 가진 사람들은 주의력을 유지하고, 과제를 완수하고,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충동 조절, 대화 중단, 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직장에서는 조직, 시간 관리 및 지속적인 집중력에 대한 어려움으로 업무 생산성에 방해가 되기도 한다.
ADHD의 광범위한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더 포괄적인 지원과 이해를 필요로 한다.
진단
ADHD 진단은 아래 1 또는 2번 중 한 가지 일 때 내린다.
1. 주의력결핍(부주의)과 관련하여 아래 증상 중 6개 이상의 증상이 지속된다.
- 세부 사항을 간과하거나 부주의한 실수를 자주 범한다
-한 가지 놀이나 작업, 활동에 집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다
-말을 걸 때 종종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지시나 지침을 따르지 않아 주어진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업무나 활동 마감일을 지키지 못하고, 소지품을 정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지속적인 주의집중이 필요한 작업 및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자주 거부한다
-작업 및 활동에 필요한 준비물을 자주 분실한다
-외부자극에 쉽게 산만해지는 경우가 많다
-일상적인 활동을 종종 잊어버린다
2. 과잉행동-충동성과 관련하여 아래 증상 중 6개 이상의 증상이 지속된다.
-자리에서 가만히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 못하거나 꼼지락 거린다
-식사 시간, 수업 시간, 회의시간 등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을 어려워한다
-부적절한 상황에서 자주 기어다니거나 뛰어다닌다 (성인과 10대들에게 이는 불안감으로 나타나는 것일 수 있음)
-조용히 여가 활동이나 놀이에 참여할 수 없다
- 계속 끊임없이 움직이거나(활동하거나), 무언가 쫓기는 듯이 행동을 한다
-종종 말을 과도하게, 수다스럽게 말을 한다
-종종 다른 사람의 질문이 끝나기 전에 답을 한다
-차례를 기다리기 어려워한다
-다른 사람의 대화나 활동을 자주 방해한다
원인
ADHD의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그리고 신경학적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여러 요인들로 인해 나타난다. 정확한 메커니즘이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연구에서는 ADHD가 강력한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 말하고 있다. 그 외에, 태아가 독소에 노출되거나 조산 또는 산모의 흡연과 같은 특정한 환경적 요인들도 ADHD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뇌 연구에서는 ADHD를 가진 개인의 뇌, 특히 주의력 조절 및 충동 조절과 관련된 영역에서 일반적인 뇌와 구조적 및 기능적 차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동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성마비(Cerebral palsy)의 특징과 증상 (0) | 2023.05.19 |
---|---|
다운증후군의 특징, 외모, 치료 (0) | 2023.05.18 |
지적장애의 특징과 진단, 치료에 대해서 (0) | 2023.05.14 |
자폐스펙트럼장애(ASD)란?, 자폐아의 여러 특징들 (0) | 2023.05.14 |
전반적 발달장애(PDD)의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해서 (0) | 2023.05.13 |
댓글